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금리가 웬 말?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를 떠나는 진짜 이유

by highsky3710 2025. 8. 21.
반응형

9%의 고금리, 비과세 혜택, 정부 지원금까지모든 조건만 보면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꿈과 미래를 위한 제대로 된 성공통장 같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성공통장의중도해지 사태가 큰 이슈로 떠올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청년도약계좌, 고금리인데 왜 깰까?”
오늘은 씁쓸하지만 솔직한 현실을,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청년들의 목소리와 앞으로 필요한 제도 변화까지 파헤쳐 봅니다.



1. 청년도약계좌, 그런데 왜 해지할까?

월급 들어오면 반은 빠져나가고, 통장엔 먼지만 남아요.”
많은 청년들이 저축을 결심할 때, 국가에서 해주는장기 저축 통장이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요?
바로 그 마음을 잡으려 시작한 게청년도약계좌입니다. 5년간 저축하면 정부 지원과 고금리를 받아 원금+이자+지원금을 얹어준다는 게 핵심이죠.

그런데 국민 225만 명이 가입했지만, 벌써 35 8천 명이 중간에 계좌를 해지했답니다.
고금리 시대, 청년들은 왜 이런 기회를 포기하는 걸까요?

청년도약계좌 10문 10답 바로가기(대한민국 공식 누리집)


2. ‘고금리도 못 잡는 중도해지율의 진짜 속사정

간단히 표로 볼까요?

월 납입액 중도해지율
10만 원 미만 39.4%
10~20만 원 미만 20.4%
70만 원 0.9%

고금리 덕을 볼 수 있다는 기대와 달리, 소득이 적은 청년(적게 납입한 가입자)일수록 중도해지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넉넉하게 저축하는 청년들은 거의 해지하지 않지요.

일단 넣어놓고 보자했더니, 생활비 부족에 결국 계좌를 깰 수밖에 없는 것.
현실은 고금리보다 한 달 살기가 더 무섭다는 이야기입니다.


3. 청년의 삶: 생존이냐, 미래냐

2019 4분기에 20대 이하 일자리 수는 326만 개. 2024 4분기엔 297만 개로 껑충 줄었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청년 한 달 평균 소득이 217만 원이라고 밝혔죠.

그런데, 월세, 식비, 공과금, 빚 상환, 교통비이래저래 고정지출을 빼면저축 여유는 거의 남지 않는 셈입니다.
특히 1인 가구 청년은 전체 평균의 절반도 못 미치고요.

여기서 5년 만기라는 건, 지금 생존하기도 힘든 청년에게 현실감 없는 무게입니다.


4. 정부의 고민과 또 다른 대안

중도해지가 급증하자, 정부도 새로운 길을 모색 중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세제 지원
2025
12 31일이면 비과세와 세금혜택이 종료됩니다.

· 청년미래적금 출시 예정
만기를 1~3년으로 바꿔, 더 유연한 저축 상품으로 개선하여 일정 소득 이하 청년이 저축하면 만기 땐 정부가 25% 추가 매칭.
정책간 연계(청년도약계좌미래적금)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짧은 기간, 실질적 지원, 변동성 높은 청년 경제에 조금 더 현실적인 상품을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5. 한 눈에 보는 해지율: 납입 금액별 통계

아래 표로 다시 한 번 살펴볼까요?

구분 해지 수 () 해지율 (%)
10만 원 미만 13,328 39.4%
10~20만 원 미만 7,316 20.4%
70만 원 322 0.9%

총 누적 가입자: 225만 명
총 중도해지자: 35 8천 명 (2025 7월 말 기준)

통계는 뻔하지만, 진짜는 생활이 더 어렵다는청년의 목소리입니다.


6. 현실에서 꿈으로, 청년정책의 길

이제 표와 수치는 뒤로 하고, 진짜 하고 싶은 말을 해봅니다.

금리도 좋고, 정책도 좋은데정작 당장 쓸 돈이 없어요.”
청년도약계좌는 미래를 준비하는 청년에게 희망을 줬지만, 현실의 경제적 무게엔 휘청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정부든 사회든 장기 저축도, 실질적 생활 안정도, 상품의 유연성도 모두 균형 있게 설계해주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아쉬운 점, 고마운 점, 그리고 더 나은 정책을 위한 여러분의 의견도 공유해보세요.
그래야 정말로 청년의 미래가이 아니라현실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2025.08.06 - [분류 전체보기] - 2025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나도 받자! 받기만 하면 N잡, 스터디, 카페탐방 다 된다?! 🎁

 

2025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나도 받자! 받기만 하면 N잡, 스터디, 카페탐방 다 된다?! 🎁

“돈이 없어서 청년이 힘들지, 꿈이 없어서 힘든 게 아니다!”이 말, 요즘 들어 본 적 있죠? 경기도에 사는 여러분이라면 적어도 올해는 복지포인트 덕분에 조금 더 ‘넓은 세상’을 누릴 수 있

highsky3710.com

2025.07.02 - [분류 전체보기] - 월 70만 원, 5년 뒤 5,000만 원?! 이게 실화냐(청년도약계좌)

 

월 70만 원, 5년 뒤 5,000만 원?! 이게 실화냐(청년도약계좌)

통장 잔고를 볼 때마다 한숨이 절로 나오는 청년 여러분! 😅 혹시 ‘청년도약계좌’ 들어보셨나요? “또 복잡한 정책 아니야?”라고 넘기려 했다면, 오늘 이 글이 여러분의 인생에 소소한 희망

highsky3710.com

 

반응형